![]() ![]() |
고령층 1인 가구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층 다섯 명 가운데 한 명은 배우자와 자녀 없이 홀로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층 1인 가구는 2015년 122만3000가구에서 지난해 166만1000가구로 5년 사이에 36% 늘었다. 자료=통계청 |
또 고령층 1인 가구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층 다섯 명 가운데 한 명은 배우자와 자녀 없이 홀로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층 1인 가구는 2015년 122만3000가구에서 지난해 166만1000가구로 5년 사이에 36% 늘었다.
주거지별로 살펴보면, 65세 이상 고령자 1인 가구의 48.5%가 단독주택에 살고 있었다. 이어 36.7%가 아파트에 거주했고, 10.3%가 연립·다세대 주택에 살았다. 이는 전체 일반 가구의 51.5%가 아파트에 살고, 30.4%가 단독주택에 사는 것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인데 좀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방에 단독주택에 사는 고령자 1인 가구 비율이 높았다.
이번에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는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른 부양비 부담 증가, 잠재성장률 하락’으로 정리된다. 조선일보는 관련 기사에서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되면 한국의 성장 엔진에 불이 꺼질 수 있다는 암담한 전망까지 나온다"고 보도했다. 이어 “2065년에는 생산 연령 인구보다 고령 인구 수가 더 많아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며 “2030년을 지나면 일찌감치 고령 사회로 접어든 주요 선진국보다 한국의 고령화 정도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가파른 고령화를 감당하기 위해 재정 소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고, 이는 재정 운용 상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