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따르면, 4월 20일부터 어린이날인 오는 5월 5일까지 16일간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연장한다. 다만 강도는 기존보다 낮춘다. 운영 중단을 권고했던 유흥시설이나 학원, 생활체육시설, 종교시설 등은 방역지침을 준수하는 한 문을 열 수 있도록 허용하되 개인의 시설 이용은 가급적 자제하도록 권고하기로 했다. 방역지침을 제대로 따르지 않으면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중단 행정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정부가 운영을 중단하도록 권고했던 유흥시설이나 헬스장 등 생활체육시설, 학원, 종교시설의 경우 각 개인이 가급적 방문 및 사용을 자제하도록 권고 수준을 하향조정한다. 이전처럼 이격거리 유지, 마스크 착용, 출입자 발열체크, 출입기록 등 방역지침을 지키면서 시설을 운영하도록 허용한다. 하지만 지금처럼 방역수칙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으면 지자체가 운영중단 권고, 집회금지와 벌금 부과 등 행정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점은 동일하다.
정부는 앞으로 2주 단위로 감염확산 위험도와 생활방역 준비상황을 평가해 사회적 거리두기 수위를 조절할 계획이다. 생활방역위원회도 매주 개최한다.
박 1차장은 생활방역위원회 개최 관련해서는 "5월5일 이후 그 다음 단계로 이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면서 "중간과정에서 여러 국민적 여론을 수렴하고 다음 단계를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한 지 논의하기 위해 매주 개최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령별 확진자 대비 완치자를 뜻하는 연령별 완치율을 살펴보면 40대(81.9%)와 50대(81.4%)가 80%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대(78.4%)와 10대(76.4%), 60대(74.3%), 9세 이하(72.5%) 연령대에서도 70%대의 완치율을 보였다. 이에 따르면 4월 19일 기준 70대 이상의 완치율은 62.3%로 떨어지고 치명률은 9.7% 수준이 된다. 80세 이상은 완치율이 31.5%로 70대의 절반 이하로, 반면 치명률은 23.2%로 치솟는다.
완치 후에도 다시 재양성 판정을 받는 재양성자 수는 꾸준히 늘어 19일 0시 기준 179명이 됐다.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는 완치율이 높게 나타났다. 20대 재양성자는 전체(179명) 중 41명(22.9%)이다. 30대는 27명(15%), 40대 25명(14%), 50대 32명(17.9%)이다.
아울러 질본은 코로나19 유행과 기온 상승은 큰 연관성이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일부 전문가들은 기온과 상관없을 것이라 이야기한다"고 말했다. 그는 "여름철이던 다른 남반구(국가)에서도 환자가 발생했다"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경우도 기온과 상관없이 우리나라에서도 유행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실제 남반구 국가인 호주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지난 18일 기준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가 6533명에 이르고 있다. 현지 기온이 30도까지 오르는 싱가포르 등 동남아 국가에서도 환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메르스 유행도 여름철인 지난 2015년 5월20일부터 7월까지였다.
질본은 다만 기온 상승이 방역과 감염관리 측면에서는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침, 콧물 등 비말을 통해 확산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람 간 2m 이상의 거리를 두거나 개방된 공간에서는 전염력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정 본부장은 "밀폐된, 밀접한 접촉이 일어나는 공간에서는 어디든지 (코로나19 확산이) 가능하다"며 "실내 난방을 할 필요가 적고 환기를 많이 할 수 있어서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유리해질 것이라 판단한다"